가을철 전염성 질환,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증 예방법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것처럼 유독 변덕스러웠던 여름도
어느새 야외 활동을 하기에 좋은 가을로 접어들고 있는데요.
<이미지 출처: 이미지비트>
그런데 이럴 때일수록 주의해야 할 것 중 하나가 바로 가을철 전염성 질환입니다.
특히 추수기에 흔히 발생하는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증은
매년 이맘때면 환자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가을철 전염성 질환으로
감염된 진드기나 쥐, 오염된 흙이나 물 등을 통해 발병하는데요.
이들 가을철 전염성 질환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증 예방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미지 출처: 이미지비트>
유행성 출혈열 증상과 예방법
주로 10~11월, 5~6월에 발생하고 농부나 군인 환자가 많은 병입니다.
한타바이러스에 의한 발열, 출혈, 신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인 급성 전염성 질환인데,.
원인 파이러스에 감염된 들쥐 배설물을 흡입하면서 감염되는데 사람끼리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평균 잠복기는 2~3주 정도로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이렇게 다섯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데
발열기에는 발열과 두통, 근육통, 얼굴과 목이 빨갛게 부어오름, 결막 충혈 등이 나타납니다.
유행성 출혈열 예방을 위해서는 질병이 유행하는 지역에 있는 산이나 들 출입을 피하고
야외 활동 전에는 긴 옷을 입고 풀밭에 눕지 않도록 합니다.
귀가 후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고 바로 샤워를 해서 몸을 씻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 출처: 이미지비트>
렙토스피라증 증상과 예방법
렙토스피라라는 미생물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이나 오염된 흙, 물 등에
피부나 점막이 접촉되면서 감염되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9~10월에 환자가 발생합니다.
축축한 토양이나 물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는 농부들에게 자주 나타나는데
사람들 간 전파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돌발적인 발열, 두통, 근육동, 구토, 결막 충혈, 구토 등 증상이 매우 다양한데
기침이나 호흡 곤란, 객혈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렙토스피라증 예방을 위해서는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해서 들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가축은 예방 접종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논에서 작업 시에는 고인 물에 손이나 발을 담그지 않도록 하고
장화, 장갑 등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세요.
벼베기를 할 때는 반드시 논에 있는 물을 빼내고 마른 뒤에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지 출처: 이미지비트>
쯔쯔가무시병 증상과 예방법
최근 가을철에 발생하는 급성 발열 질환 중 3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병입니다.
원인균에 감염된 털진드기가 사람을 물면서 전파되는데
쯔쯔가무시병에 걸리면 발열, 두통,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쯔쯔가무시병의 특징이라면 진드기가 문 자리에 궤양이나 검은 딱지가 생긴다는 것인데요.
추수기에 갑작스럽게 감기 몸살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거나
질병이 유행하고 있는 지역을 다녀온 후 원인 모를 열이 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미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헐크 근육 만드는 법 화제 (0) | 2012.09.05 |
---|---|
추석 기차표 예매 (0) | 2012.09.04 |
[건강정보]여름건강제철음식으로 여름건강지키기! (0) | 2012.08.23 |
[입건강관리] 입냄새가 나면 건강에 적신호? (0) | 2012.08.16 |
동양인 얼굴에 잘 어울리는 청순한 코랄 메이크업 (0) | 201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