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 이미지비트)
간혹 우리는 거울로 입 속을 살펴보다 혀에 하얗게 무언가가 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화도중 상대의 혓바닥이 하얗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혓바닥에 하얀 것이 바로 설태 입니다.
(사진출처 : 이미지비트)
설태란 태란 입안에서 떨어져 나온 세포, 섭취한 음식물의 찌꺼기,
각종 세균이나 침의 끈적이는 성분이 뒤섞이고 쌓여서 생기는 것으로,
이렇게 혀에 설태가 끼어 있으면 상대방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줄 수 있을 뿐더러,
입 냄새까지 유발한답니다.
(사진출처 : 이미지비트)
그래서 오늘 탑플란트치과에서는 혀에 설태가 생기는 이유와 함께,
혀에 설태가 잘 끼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혀에 설태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1. 설태는 몸이 불편한 경우, 불규칙한 생활, 알코올이나 청량 음료를 많이 마심,
자극적인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 부착됩니다.
2. 식욕이 좋은 과산증인 사람에서는 보통 혀는 깨끗하고 습윤해 있거나
아주 얇은 백색설태를 나타낼 정도입니다.
3. 두꺼운 설태는 과도한 끽연이나 음주, 위염이나 위암, 발열이 오래 계속된 경우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4. 장티푸스일 때는 중앙에 백색 또는 갈색의 두꺼운 설태가 생기고, 가장자리에는 붉은 부분이 있습니다.
(사진출처 : 이미지비트)
혀에 설태가 잘 끼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올바른 양치질 - 설태는 아침 기상 후나 식사 후 양치질을 하지 않아 발생하므로 양치질을 잘 해야 합니다.
양치질을 할 때에는 치아 뿐만 아니라 혀도 잘 닦아 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혀를 닦아줌으로써 구강 내 세균 성장을 억제하고 세균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미리 혀를 청결히 하여 설태를 예방하면 좋지만, 이미 설태가 생겨버렸을 경우에는
칫솔로 혀를 닦아주는 것도 좋지만 혀 클리너를 구입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수분 섭취 - 입안이 건조하면 세균발생이 쉬워지기 때문에
항상 수분 섭취를 위해 물을 자주 마시거나, 입안을 헹궈주어야 합니다.
3. 코 호흡 - 입으로 숨을 쉬는 버릇은 면역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입안을 건조하게 만들어 세균 발생을 촉진시키므로 코로 숨쉬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치아건강 이렇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냄새의 원인찾기! 입냄새 없애려면 양치질을 잘하자 (0) | 2012.02.29 |
---|---|
시린이엔 사용하면 좋은 치약 고르는 법!! 시린이에 쓰면 좋은 치약! (0) | 2012.02.20 |
서울탑플란트치과와 다양한 치과용어 알아보자! (0) | 2012.02.17 |
치약에 들어가는 계면활성제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0) | 2012.02.10 |
어릴때부터 관리하는 어린이 치아관리법! (0) | 2012.02.03 |